원문 출처 http://www.vet.cornell.edu/Public/FHC/vaccbr.html
코넬 대학의 수의과 대학에서 운영하는 고양이 건강 센터의 글입니다.
(전문 수의학 용어의 번역에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번역 : yayar@hanmail.net (http://www.crystalcats.net)
고양이 백신 : 이점과 위험성
당신의 고양이에게 어떤 백신을 접종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의 이점과 위험에 대해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가장 적절한 백신을 선택하기 위해서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의사에게 당신의 고양이에 대한 정보들(생활습관, 생활환경, 치료 받은 경험, 현재의 의학적 문제, 앞으로 받을지도 모르는 처방 등)을 알려주는 것 역시 중요하다.
-왜 고양이에게 예방 접종이 필요한가?
면역체계는 고양이의 건강을 유지시키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수한 세포와 분자들로 이루어진 이 복잡한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그리고 다른 미생물들에 의한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고양이를 지키는 것이다. 백신은 당신의 고양이의 면역체계가 질병을 유발하는 특별한 병원체에 의한 공격을 막아내는 것을 도와준다. 백신은 항원을 포함하고 있다. 면역체계는 이 항원을 병원체로 인식하지만 이 항원은 (이론적으로는)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백신이 주사되면 면역체계는 항원에 대해 방어 반응을 보이게 된다. 그 이후에 당신의 고양이가 병원체에 노출되면, 면역체계는 감염을 막고 질병이 심각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백신이 전염병을 제어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백신이 질병을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모든 고양이에게 똑같은 면역력을 만들어 내지도 못한다. 당신의 고양이가 전염병으로 부터 좀 더 안전해지기 위해서는 감염된 고양이나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왜 새끼 고양이에게는 기본 접종 외에도 추가 접종이 필요한가?
새끼 고양이들은 태어난 이후 몇시간 동안 항체가 포함된 어미의 젖을 먹게 된다. 이 항체들은 새끼 고양이들의 면역체계가 충분히 발전되기 전까지 전염병을 막아내는 역할을 한다.
불행히도, 어미에게 물려받은 항체가 새끼 고양이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주입된)백신을 저지하게 한다. 수의사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백신을 여러차례 접종하게 되는데, 대개 6주에서 8주 되었을 때 첫 접종을 시작한다. 예방접종은 어미에게 물려받은 항체가 약해질 때까지 4주에서 6주 간격으로 반복되며 대개 12주 정도까지 접종하게 된다. 몇몇 백신의 경우(예를 들어 광견병 백신), 어미에게 물려받은 항체가 완전히 사라지기 전까지는 접종을 시작하지 않는다.
-성묘에게 매년 예방접종을 할 필요가 있는가?
대답은 백신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어떤 고양이 광견병 백신은 1년 이상 그 효과가 지속된다. 따라서, 3년에 한번씩 접종하는 백신을 접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추가 접종까지 완결되었고 지역에서 광견병 발병 위험이 있는 경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범백혈구 감소증, 전염성 비기관지염, 칼리시 바이러스 백신들은 수년동안 적절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수의사들은 3년에 한번 접종하는 것보다 더 자주 접종하지 말것을 권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백신들에 대해선 그 지속 기간에 대해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대한 정보가 알려지기 전까지는 매년 접종(필요할 때)하는 것이 좋다.
-백신은 위험한가?
대개는 위험하지 않다. 그러나, 위험성이 완벽하게 제거된 백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고양이의 전염병과 싸우기 위해 백신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른 여타의 의학적 수단과 마찬 가지로 백신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할 작은 가능성이 있다. 백신의 이점을 최대화 하고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당신의 고양이가 노출되고 감염되어 질병에 걸리게 될 실제적인 위험이 있는 전염병에 대해서만 예방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예방접종을 하기 전에 수의사에게 당신의 고양이의 현재 상태, 현재 받고 있는 치료, 과거에 있었던 백신 부작용 등에 대해서 반드시 알려야 한다.
부작용은 가볍거나 혹은 (매우 드물게)심각할 수 있다.
가벼운 부작용들
아래의 부작용들은 예방 접종 이후 수시간에서 며칠 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작용 들이다. 이 부작용들은 대개 며칠 이후 사라진다.
1) 주사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불쾌감.
2) 미열.
3) 식욕감퇴와 활동력 저하.
4) 접종 이후 4일에서 7일 동안의 재채기.
5) 칼리시바이러스 백신 접종후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관절 질환과 절룩거림.
6) 접종한 위치의 피부가 작고 딱딱하게 부어오르는 현상(고통스럽지는 않음). 대개 몇 주 후면 사라지지만 이런 증상이 발견되면 수의사와 상담할 것.
7) 클라미디아 백신 접종후 1주에서 3주후에 나타나는 절룩거림, 식욕부진, 발열
심각한 부작용들
다음의 부작용들은 매우 드물게 나타남:
1) 접종후 수분에서 수 시간 만에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
2) 접종 후 몇주, 몇개월 혹은 더 시간이 지난 후 나타나는 육종(악성종양).
-고양이가 백신에 부작용을 나타낸다고 생각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수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백신과 관련된 질병이 흔하지는 않지만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다. 수의사는 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현재 어떤 백신들을 사용할 수 있는가?
1) 범백혈구 감소증(Panleukopenia):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feline distemper: 고양이 디스템퍼)은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질병이며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감염되면 활력이 없어 보이며 식욕을 잃게 된다. 발열, 구토, 설사 증세를 자주 보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별다른 징후 없이 갑자기 사망하기도 한다. 고양이가 범백혈구 감소증에 감염되면 상당수가(특히 새끼 고양이) 죽게 된다.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는 감염된 고양이의 변을 통해 전염되며 이 바이러스는 극단적인 기온과 습도 환경에서도 수개월에서 수년동안 살아남을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대부분의 살균제에 저항력이 있다.
현재까지는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이 가장 치명적인 질병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 질병으로 인해 한 해에 수천마리가 죽음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효과적인 백신덕에 현재는 드문 질병으로 여겨진다. 백신에 의해 충분한 면역력이 형성되며 예방접종한 고양이들의 경우 감염으로부터 완벽히 차단된다.
모든 고양이들에 권장되고 있다.
2)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칼리시 바이러스(Feline Herpesvirus and Feline Calicivirus): 전염성 고양이 호흡기 질환(infectious feline upper respiratory tract diseases)의 8,90 %가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feline viral rhinotracheitis 전염성 비기관지염의 원인)와 칼리시 전염성 폐렴(feline calicivirus)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성묘의 경우 대개 치명적이지 않으나 새끼 고양이의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재채기, 눈물, 콧물, 발열 등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전염성 고양이 호흡기 질환(infectious feline upper respiratory tract diseases)외에도 절룩거림과 만성적인 구강 염증 질환이 칼리시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되어 있다. 두 바이러스 모두 감염된 고양이의 코, 눈, 입 등의 분비액을 통해 전염된다. 감염된 개체와의 직접적인 노출(재채기 혹은 바이러스에 오염된 식기를 통해)을 통해 감염된다.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일생동안(특히 어린 시절) 두 바이러스에 노출되게 된다. 한번 감염되고 나면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질 가능성은 없다. 이 고양이들은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바이러스를 배출하며 다른 고양이들에게 바이러스를 전염시키게 된다.
현재의 백신은 질병이 악화되는 것을 막아주지만 모든 고양이들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고양이들에게 접종하는 것이 좋다.
3) 광견병(Rabies): 광견병의 위험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고양이 광견병에 감염된 고양이의 숫자는 개와 다른 애완동물들의 감염수를 능가하고 있다. 광견병은 지속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으며 공공의 건강과 관련한 관심의 대상이다. 인간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광견병 예방접종은 모든 고양이들에게 요구되어 지며 많은 나라에서 예방접종을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4)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로 인해 많은 고양이들이 목숨을 잃고 있다.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고양이의 침과 콧물을 통해 전염된다. 감염된 고양이와의 지속적인 접촉이나 물린 상처를 통해 전염되며, 감염된 어미 고양이에게서 새끼 고양이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FeLV에 의한 질병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게다가 감염된 이후 3년 이상 생존할 가능성은 20% 이하로 추정된다. 빈혈, 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이차 감염 등이 일반적인 증상이다.
밖에 사는 고양이나 외출이 가능한 고양이, 그리고 이런 고양이들에 노출된 고양이들은 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높다. FeLV에 감염된 고양이와 함께 살 경우 그 위험성이 높다. 4개월 미만의 새끼 고양이들이 좀 더 쉽게 감염된다.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고양이들의 경우 감염된 고양이와 접촉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감염될 위험이 있는 고양이, 특히 4개월 미만의 고양이 들에게 예방접종할 것이 권장된다.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적은 고양이들, 특히 4개월 이상의 고양이들에게는 반드시 접종할 필요는 없다. 이 백신이 모든 고양이들에게서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감염된 고양이와 접촉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5) 클라미디아증(Chlamydiosis): 클라미디아증은 클라미디아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나타난다. 결막염이 가장 일반적인 증상이며 재채기를 하거나 콧물을 흘리기도 한다.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5주에서 9개월 미만의 고양이들이 흔히 감염된다.
또한 호흡기 질환을 겪은 적 있는 고양이들이 여럿이 살고 있는 환경에서 특히 감염될 확률이 높다. 예방접종을 한 고양이가 감염으로 부터 보호되는 것은 아니지만 심각한 증상을 겪지는 않게 된다.
다른 백신들에 비해서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그 증상은 경미하며 대부분 치료될 수 있다. 함께 기르는 다른 고양이에게서 클라미디아가 발견된 경우 접종 할 것을 권장한다.
6)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은 고양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나타난다. 다른 종류의 변종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으나 대부분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들 중 1~5% 정도의 고양이들에게서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이 나타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감염된 고양이의 배설물을 통해 전염된다. 대부분의 경우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바이러스로 오염된 화장실이나 식기, 침구, 옷, 장난감에 노출되어 전염된다. 여러 고양이와 함께 사는 고양이들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
그러나 적은 숫자의 고양이와 함께 사는 경우는 그 확률이 매우 낮다. 모든 연령대의 고양이들이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에 걸릴 수 있으나 2살 미만의 어린 고양이들에게서 발병할 확률이 더 높다. 치료를 하더라도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에 걸리게 되면 생존할 확률이 높지 않다. 예방 백신이 있으나 예방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7) 링웜(Ringworm): 링웜 혹은 피부사상균증 이라 불리는 이 질병은 곰팡이성 소아포균(fungus Microsporum)에 의한 것이다. 링웜은 여러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새끼 고양이들이 가장 빈번히 감염지만 모든 연령대의 고양이가 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 감염된 고양이의 피부나 털에 있는 균 포자에 노출되어 감염되게 된다. 이는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 외에도 감염된 고양이가 살고 있는 집안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균의 포자에 의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카펫이나 천을 덧댄 표면 혹은 구석진 곳이나 벽의 구멍에서 발견되는 이 균들은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고양이들을 감염시킬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링웜 백신은 감염을 막지 못하며 감염된 고양이로부터 균을 제거하거나 질병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하지도 못한다. 그러나 이 질병을 치료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들이 추가적인 처방으로 사용할 것이다. 또한 균에 감염된 고양이와 같은 환경에 살고 있는 여러마리의 고양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과정중에 이 백신을 사용할 수도 있다.
8) Bordetellosis(전염성 기관지염의 일종): 보데텔라 부론키쎄푸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는 고양이에게서 기관지 질환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이다. 이 질병에 감염되면 기침과 재채기를 하게 되며 눈물과 콧물을 흘리며 때때로 발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질병의 증상은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칼리시 바이러스 감염증과 비슷하다. 이 질병은 코를 통한 박테리아의 흡입으로 감염된다고 여겨지고 있다. 보호시설의 고양이 혹은 여러 마리의 고양이와 집안에서 함께 생활하는 경우 이 박테리아에 노출될 확률이 높으며 특히 기관지 질환이 나타나고 있는 환경에서 그 확률이 높다.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이 존재한다. 백신제조사들에 의한 연구에 따르면 질병을 완화시키는데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수의사들은 여러마리의 고양이가 생활하는 환경에 있거나 그런 환경(이 박테리아의 감염이 의심되거나 학인된 보호소, 사육장, 이동을 위한 배나 비행기등)을 접하게 되는 고양이들에게 예방접종을 권할 것이다.
9) 람블편모충증(Giardiasis): Giardia lamblia라 불리는 단세포 기생충에 의해 감염되며 단기간 혹은 만성적인 위장 질환과 관련 있다. 설사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감염된 고양이의 배설물을 통해 전염되며 이 기생충에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서로 그루밍을 해주는 경우) 혹은 오염된 화장실에 노출되거나 사냥한 조류등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이 질병은 여러마리의 고양이를 기르는 환경에서 큰 문제가 되곤 한다. 예방 백신은 여러 마리의 고양이가 살고 있는 환경에서 이 질병을 제거하는데에 도움을 준다고 평가받지는 못하고 있지만 치료과정중의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백신을 사용해야 하는가?
결정은 다음 사항들에 따라 결정된다.
1) 질병을 유발할 병원체에 노출될 위험성과 당신의 고양이가 노출되었을 경우 다른 고양이의 건강에 끼칠 영향 그리고 고양이가 살고있는 환경.
2) 감염의 영향.
3) 고양이의 나이와 건강.
4) 백신의 예방 능력.
5) 백신과 관련한 부작용의 빈도와 심각한 정도.
6) 감염된 고양이가 사람의 건강에 가할 위험의 정도(광견병 바이러스 등).
7) 과거에 경험한 백신 부작용.
야야~님이 올려주신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