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보다 나은 품질의 사료 선택을 위해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미국의 고양이 행동심리 컨설턴트인 Pam Johnson의 저서 CAT LOVE에서 발췌, 번역하였습니다.
미국 내 생산 사료와 여러 가지 규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미국 외의 지역에서 생산된제품의 경우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단어 자체로 의미나 뜻이 명확한 화학명 등은 굳이 해석을 가하지 않았습니다. )
라벨(Label) 읽기
고양이용 사료의 라벨에는 "complete"혹은 "balanced"라는 문구가 명시되어 있어야하며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승인 기준에 적합하거나 이 기준을 초과 하여야한다.
또한 제조사명과 주소를 명확하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간혹 AAFCO ( Association of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 )의 테스트를 통과하고
승인을 받았다는 문구가 보일 수 있다.
AAFCO는 pet food 에 관한 기준과 스탠다드를 제공하여 이에 대한 법률과 규정의 설립을 돕는
국립 기관이다.
이 기관에서는 각 사료제조사가 그들이 생산하는 사료의 영양가와 안전성을
테스트 할 수 있는 "테스트 규정"을 제공하며 테스트에 참가한 동물들은 테스트 전과 후에
세심한 신체 검사와 검진을 받아야하며 모든 테스트의 과정은 반드시 수의사의 지시아래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AAFCO 의 테스트 승인"이라는 표시가 있다면
그 브랜드에 가산점을 주어도 좋다고 볼 수 있다.
이 테스트에 대해 궁금증이 있거나 라벨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중 의문이 있을 시에는
해당 사료회사에 직접 연락을 하여 알아보는 것이 좋다.
라벨상의 단백질(protein)과 지방(fat)은 최소 함량으로 표시된다.
단백질은 꼭 동물성 단백질만이 아닐 수도 있다.
고양이는 육식 동물이므로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무엇보다 중요하니 만큼 성분표를 면밀히 살펴서
함유된 단백질 중에 동물성 단백질의 함유율이 높은 것을 선택하여야한다.
함유율이 높은 것에서 낮은 순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동물성 단백질이 하단에 나와있다면 대체로 고양이의 필요 영양소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질이 낮은 사료라고 볼 수 있다.
단백질 공급원으로 soybean meal(콩고기?)의 함량이 높은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단백질은 종종 "crude protein"으로 표시되곤 하는데 문제는 이들 중 모든 성분이
고양이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에 대해 확실한 답을 얻고자 한다면
사료 회사에 생산품의 "total protein stibility"를 요청하면 된다.
여러 가지 브랜드의 사료를 비교, 분석하는 것도 선택에 도움이 된다.
방부제는 사료 내의 지방성분 부패를 막기 위해 첨가된다.
방부제를 타사에 비해 많이 사용하는 사료제조사도 있고
또 그중 일부는 아주 의심스러운 성분의 방부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성분표를 잘 살펴 단 한가지의 방부제만 사용된 제품을 선택하고
또한 인공 색소가 사용된 제품도 피한다.
사료의 가공 처리 과정 중 일부 비타민과 미네랄이 파괴되므로 이의 보충을 위해 첨가된
비타민과 미네랄의 목록도 잊지 말고 확인한다.
라벨에는 또한 총 칼로리가 표시되어있어야 한다.
민일 표시가 없다면 역시 해당 사료 제조사에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
"low ash"(sodium carbonate)나 "low magnesium"(더욱 바람직)이라고 명시된 사료를 선택한다.
ash(탄산소다 나트륨)의 함유율은 캔 사료 3%, 건 사료 8%를 넘어서는 안 된다.
식품 첨가물( Food Additives )
* 식품 첨가물은 :
1. 지방의 부패를 방지하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며 제조 공정중 파괴된 영양소를
대체함으로써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2. 향이나 색깔을 첨가하거나 특정 성분의 냄새를 커버하여 (주로 인간의)시각과 후각에
어필하기 위해 사용된다.
3. 첨가물들을 유제화하고 액상의 첨가물들이 섞여 있도록 하며,
식품 안정제의 사용으로 적합한 밀도와 농도, 견고도를 얻고,
산도와 알칼리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모든 식품 첨가물이 나쁜 것은 아니므로 어떤 것이 무슨 용도를 위해 사용되는지를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인 첨가물 목록>
Animal Fat/Chicken Fat : 지방 공급원
--------------------------------------------------------------------------
Ascorbic Acid : 산화방지제로 사용된 비타민 C
--------------------------------------------------------------------------
Beet Pulp : 섬유질을 위해 사용된 탄수화물
--------------------------------------------------------------------------
BHA(Butylated Hydroxyanisole) : 부패의 지연을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BHT보다는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하는 것이 좋다.
--------------------------------------------------------------------------
BHT(Butylated Hydroxytoluene) : 부패의 지연을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서 알레르기 반응
외에도 많은 부작용을 일으킨다. 역시 피하여야 한다.
--------------------------------------------------------------------------
Blue No.2 : 테스트로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이 된 인공 색소로서 피하는 것이 좋다.
--------------------------------------------------------------------------
Carmel Coloring : 가열하여 태운 설탕으로 만든 천연 색소.
--------------------------------------------------------------------------
Cellulose : 농도 조절과 섬유질을 위해 사용된 탄수화물.
--------------------------------------------------------------------------
Corn Gluten Meal : 소화가 쉬운 탄수화물
--------------------------------------------------------------------------
Corn Meal : 소화가 쉬운 탄수화물
--------------------------------------------------------------------------
Digest : 역시 소화의 용이를 위한 첨가물. 맛과 향기를 가하기 위해 액상화하여
사료에 스프레이한다.
--------------------------------------------------------------------------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 산화방지제로서 금속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부패와 변색을 방지한다. 안전한 것으로 간주됨.
--------------------------------------------------------------------------
ETHOXYQUIN : FDA에 의해 안전이 승인된 방부제
--------------------------------------------------------------------------
Fish Oil/Cod Liver Oil : 지방 공급원
--------------------------------------------------------------------------
Ground Corn : 소화가 용이한 탄수화물
--------------------------------------------------------------------------
Guar Gum : 탄수화물로서 천연 성분의 고착제, 농축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
Lecithin : 유화제,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하는 영양소로서 물과 기름의 분리를 막는다.
--------------------------------------------------------------------------
Meat/Beef/Poultry By-Product : 우수한 사료 제조사의 생산품에 사용된 것은
좋은 단백질 공급원
--------------------------------------------------------------------------
◎ By-product(부산물) : AAFCO는 부산물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포유동물의 살코기이외의 부분으로서 깨끗하며 분쇄,정제 하지 않은 부분들"
부산물은 허파, 신장, 비장, 간, 뇌, 혈액, 뼈, 위장, (내용물을 제거한)소장과
대장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머리카락, 뿔, 치아, 발굽은 포함되지 않는다.
--------------------------------------------------------------------
Meat Meal : 좋은 단백질 공급원
-------------------------------------------------------------------------
MSG(Monosodium Glutamate) : 맛을 내기 위해 첨가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수 있다.
--------------------------------------------------------------------------
Propylene Glycol Alginate : 해조에서 추출한 농축제로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
--------------------------------------------------------------------------
Propyl Gallate : 기름과 지방의 산패를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로서 주로 BHA,
BHT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주의"를 요하는 첨가물.
--------------------------------------------------------------------------
Red No. 40 : 쥐에게 실험결과 발암물질로 알려진 인공 색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피하여야하는 성분이다.
Sodium Bisulfite : 박테리아 성장의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로서
음식물내의 비타민 B1을 파괴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Sodium Nitrate : 보툴리누스균의 성장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로서 색깔과 맛을
내기위해서도 쓰일수 있다. 발암물질인 nitrosamines생산품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체내의 비타민 A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피한다.
--------------------------------------------------------------------------
Sodium Nitrite : Sodium Nitrate와 같다.
--------------------------------------------------------------------------
Soybean Flour : 성분표상 단백질 레벨을 올리기 위해 사용되며 고양이에게 필요한 단백질
성분이 아님.
--------------------------------------------------------------------------
Soybean Meal : 성분표상의 레벨을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단백질.
--------------------------------------------------------------------------
Soybean Oil : 지방 공급원
--------------------------------------------------------------------------
Sulphur Dioxide :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방부제
--------------------------------------------------------------------------
Titanium Dioxide : 색소
--------------------------------------------------------------------------
TVP(Textured Vegetable Protein) : 모양과 색깔이 육류처럼 생긴 Soy flour로 역시
성분표상의 단백질 레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
Wheat Flour : 소화가 용이한 탄수화물
--------------------------------------------------------------------------
Wheat Germ Oil : 지방 공급원
--------------------------------------------------------------------------
Whey : 성분표상 단백질 레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우유에서 추출한 첨가물
--------------------------------------------------------------------------
Yellow No. 5 : 테스트 결과 질이 아주 낮은 것으로 판명된 인공 색소로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역시 피하여야 한다.
--------------------------------------------------------------------------
<비타민의 표기>
Alpha Tocopheryl Acetate (E)
Alpha Tocopheryl Succinate (E)
Alpha Tocopheryl Concentrate (E)
Inositol ( part of B complex )
Lecithin ( Choline and Inositol )
Medadione (K)
Niacin (B3)
Niacinomide (B3)
Ascorbic Acid (C)
Biotin ( part of B complex )
Calciferol (D)
Calcium Pantothenate (B5)
Choline Chloride ( part of B complex )
Cobalmin Concentrate (B12)
D-Activated Animal Sterol ( source of D )
D-Alpha Tocopheryl (E)
D-Calcium Pantothenate (B5)
D-Pantothenate Acid (B5)
Ergocalciferol (D)
Phytonadione (K)
Pyridoxine (B6)
Pyridoxine Hydrochloride (B6)
Riboflavin (B2)
Sodium Ascorbate (C)
Thiamine Hydrochloride (B1)
Thiamine Monoitrate (B1)
Vitamin A Acetate (A)
Vitamin A Palmitrate (A)
<미네랄의 표기>
Bone Meal (Calcium and Phosphorus)
Calcium Carbonate (Calcium)
Calcium Gluconate (Calcium)
Calcium Iodate (Calcium)
Copper Gluconate (Copper)
Copper Oxide (Copper)
Copper Sulfate (Copper)
Ethylene Diamide Dihydriodide (Iodine)
Ferrous Fumarate (Iron)
Ferrous Gluconate (Iron)
Ferrous Sulfate (Iron)
Iodized Salt (Iodine)
Iron Carbonate (Iron)
Iron Sulfate (Iron)
Magnesium Phosphate (Magnesium)
Magnesium Sulfate (Magnesium)
Manganese Sulfate (Manganese)
Phosphoric Acid (Phosphorus)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Potassium Glycerophosphate (Potassium)
Potassium Iodine (Potassium)
Sodium Selenite (Selenium)
Tricalcium Phosphate (Calcium)
Zinc Acetate (Zinc)
Zinc Sulfate (Zinc)
*********************************************************************************
대부분의 고양이 사료가 NRC의 규정에는 적합할 수가 있으나
그 "quality and digestibility"에 있어서는 의문점이 있을 수도 있다.
라벨을 세심히 읽음으로서만이 인공 방부제나 색소, 고양이에게 적합지 않은
단백질 성분이 함유된 사료를 가려낼 수가 있을 것이다.
어떤 브랜드를 선택할 때 위의 '품질 확인 리스트'에 통과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어떤 사료가 아무리 좋다고 하여도 그 사료 하나만을 급여하는 것은 좋지 않다.
몇 가지 고품질 브랜드의 사료를 돌아가면서 먹이는 것이 영양 밸런스에도 좋고 고양이가
한가지에만 입맛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youngcat] 님께서 발췌, 번역하신 글입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