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내장 (Cataracts)
백내장은 망막으로가는 빛의 통과를 방해하는 수정체의 불투명함이라고 정의된다.
빛을 차단하는 수정체의 점은 그 크기에 상관없이 의학적으로 백내장이라고 할수 있다.
백내장은 종류를 막론하고 고양이에게는 드물다.
대부분의 백내장은 눈의 부상이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선천적인 백내장은 microphthalmia (small eye)같은 선천적 눈의 결함이나 지속적으로 동공에 피막이 끼는등의 증상을 동반할수 있다. 백내장은 당뇨병이 있는 고양이에게 발생할수 있으나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
고양이가 나이 들어감에따라 정상적인 눈의 노화가 발생한다.
일생을 통하여 섬유질이 수정체 표면에 형성되고 눈의 중심부쪽으로 압박을 가한다.수정체는 또한 노화해감에따라 포함하는 수분이 점점 적어진다.
이러한 변화로인해 나이든 고양이의 각막 뒷부분 수정체에
푸르스름한 빛의 흐릿한 안개 같은것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시각에 장애를 주지 않으며 치료가 필요치 않다.
핵 경화증이라 불리는 이러한 상태는 백내장과는 구별 되어야한다.
백내장은 이로인해 시각에 손상이 올 경우에만 중요하게 취급된다. 완전한 시력 손실(blindness)은 수정체를 제거(백내장 적출)함으로써 교정될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시각은 회복될수 있지만 시각적 정밀도는 상실하게 된다. 망막에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수술은 주로 양쪽 눈 모두 백내장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는 고양이의 경우에만 한한다.
* 녹내장 (Glaucoma=Hard Eye)
녹내장은 안구내의 유동체 압력의 상승으로인해 발생한다.
안구와 정맥혈의 순환 사이에 비록 아주 느리기는 하나 지속적인 유동체의 교환이 일어난다. 그 무엇이든 이 섬세한 균형을 깨뜨리는것이 있으면 압력이 상승하며 눈이 커지고 단단하게된다. 안압이 동맥혈압보다 높아지면 망막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맥혈이 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된다.
고양이의 녹내장이나 이차적 녹내장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눈의 염증이나 감염이다. 그밖의 원인으로는 백내장, 눈의 부상이나 눈의 암등이 있다.
일차적(선천적) 녹내장은 드물지만 페르시안,샴,그밖의 단모종에서 발견되고 있다.
급성 녹내장은 약간 또는 보통정도로 눈물이 나고 사시 증세가 나타나며 흰자위 부분이 약간 붉어진다. 감염된 눈동자는 반대쪽의 눈동자에 비해 약간 크며 가볍게 눌렀을때 통증이 있고 반대쪽보다 약간 더 단단하다.
유동체 압력이 상승함에따라 눈이 현저하게 커지고 표면이 돌출한다. 이 과정중에 망막에 손상이 오기 시작하며 수정체가 정렬선상에서 벗어날수도 있다.(dislocated)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갑자기 일어날수도 있고 몇주간에 걸칠수도 있다. 안압의 측정은 눈의 표면에 기구를 대고 하며 진단을 위해서는 눈 내부의 검사도 필요하다.
이 질병을 미처 발견하기전에 이미 영구적으로 시력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녹내장을 그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결막염이나 uveitis(Soft Eye)와 구분하기위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망막에 돌이킬수없는 손상이 오기전에 치료를 개시하는것이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다.
-녹내장의 치료-
급성 녹내장은 응급 입원이 필요할수도 있다.
안압을 낮추기위해 다양한 국소용 약품과 내복약이 사용된다.
만성 녹내장에는 유지용 약품이 사용된다. 눈에 생기는 주요한 문제점은 어떤것이든 치료가 되어야한다. 약물 치료로 효과가 없다면 수술을 하여야 한다.
시력이 살아있을 가능성이 보이는 경우 안압을 낮추는 수술이 시행될수 있다.
이미 시력이 완전 상실되었고 통증이 심한 경우 최선의 방법은 눈 자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외관상의 이유로 인공 안구를 삽입한다.
참고자료 :
Cat Owner's Home Veterinary Handbook
( Howell Book House )
[youngcat] 님께서 올려주셨습니다.
0